HS CODE 조회 완벽 가이드

1. HS CODE(코드) 기본 개념

항목내용
정의국제 무역에서 상품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6자리 품목 분류 코드
관리 기관세계관세기구(WCO)
목적무역 상품의 통일된 분류, 정확한 물품 식별, 관세율 책정, 통관 절차 간소화
국제 표준6자리 구성 (전 세계 공통)
국가별 확장각국이 자국 상황에 맞춰 추가 분류 (한국 4자리, 일본·중국 2~4자리)

2. HS CODE 구조

자릿수분류명설명예시 (남성용 면 코트: 6201.12)
1-2자리류(Chapter)대분류 카테고리62 (편성하지 않은 의류 및 의류부속품)
3-4자리호(Heading)중분류01 (남성용 오버코트, 자동차코트 등)
5-6자리소호(Subheading)소분류12 (면제품)

3. HS CODE 와 한국의 HSK CODE 비교

구분HS 코드HSK 코드
자릿수6자리 (국제 표준)10자리 (한국 고유 확장)
목적국제 상품 분류 통일한국의 상세 관세율 부과 및 통계
관리 기관세계관세기구(WCO)한국 관세청
활용도모든 HS 가입국 공통한국 내 수출입 신고, 관세 적용
세분화 수준대분류~중분류상세한 상품 구분(재질 등 추가)
예시9401.39 (기타 회전 의자)9401.39-1000 (가죽으로 덮은 의자)

4. HS CODE 조회 및 사용 방법

순서방법상세 내용장점
1단계관세청 시스템 조회한국 관세청 "세계HS" 메뉴
유니패스 시스템 (unipass.customs.go.kr)
제품명, 용도, 재질, 성분 등 상세 입력
무료, 즉시 확인 가능
2단계품목분류 사전심사관세청에 공식 신청(관세평가분류원)
법적 구속력 있는 결과 제공
수출입 분쟁 예방
공식 인정, 법적 보장
3단계전문가 자문관세사, 무역컨설턴트 상담
복잡한 제품, 기술적 설명 필요시
전문성, 리스크 최소화
4단계국제 DB 참조WTO, WCO, 한국무역협회 웹사이트
무역 플랫폼(KITA) 활용
다각적 검증

5. 관세청 HS CODE 조회 방법

HS CODE는 관세청의 관세법령정보포털(아래 링크 참조) 사이트에서 무료로 즉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이때 간혹 국가관세종합정보서비스(https://unipass.customs.go.kr/csp/index.do)에 접속하시는 분이 계실수 있는데 이 사이트에서는 원하시는 HS CODE를 찾으실 수 없습니다. 
기본 사이트 주소가 같아서 헷갈리는 경우인데 unipass.customs.go.kr/ 뒤에 csp 가 아니고 clip 이 붙어 있는 사이트에 접속하셔야 합니다.
csp 가 붙어 있는 국가관세종합정보서비스 사이트는 통관에 관한 업무를 처리하는 관세청의 다른 사이트 입니다.

1. 관세법령정보포털에 접속하신뒤 상단 메뉴바에서 세계HS를 선택하신 후 관세율표를 선택합니다.
이후 나라를 선택(한국) 하시고 가장 최신인 2025년을 선택한 뒤 본인이 찾으시려는 부의 류를 선택해 줍니다.

관세법령정보포털 세계HS 관세율표

2. 위의 이미지처럼 부와 류를 찾아 선택하면 다시 바뀐 화면에서 본인이 HS CODE를 확인하고자 하는 호(품명)을 선택해 줍니다.

관세법령정보포털 세계HS 관세율표 부 류 호 품명

3. 호(품명)까지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최종적으로 품명에 속한 모든 품목번호(HS CODE)가 뜨게 되고 여기에서 본인이 확인하려는 품명 상태에 따른 품목번호(HS CODE)를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관세법령정보포털 세계HS 관세율표 부 류 호 품명 품목번호 HS CODE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