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득세 누진세율 구간표
성과급은 별도 세율이 아닌 연간 총소득에 합산되어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기존 소득이 높을수록 성과급에 더 높은 세율이 적용되는 구조입니다.
| 과세표준 구간 | 세율 | 누진공제액 |
|---|---|---|
| 1,400만 원 이하 | 6% | 0원 |
| 1,400만 원 초과 ~ 5,000만 원 이하 | 15% | 126만 원 |
| 5,000만 원 초과 ~ 8,800만 원 이하 | 24% | 590만 원 |
| 8,800만 원 초과 ~ 1억 5천만 원 이하 | 35% | 1,670만 원 |
| 1억 5천만 원 초과 ~ 3억 원 이하 | 38% | 2,200만 원 |
| 3억 원 초과 ~ 5억 원 이하 | 40% | 2,800만 원 |
| 5억 원 초과 ~ 10억 원 이하 | 42% | 3,800만 원 |
| 10억 원 초과 | 45% | 6,800만 원 |
2. 성과급 세금 계산 과정
계산공식 : 산출세액 = (과세표준 × 해당 세율) - 누진공제액
| 단계 | 내용 | 비고 |
|---|---|---|
| 1단계 | 연간 총소득 합산 | 기본급 + 수당 + 성과급 등 모든 근로소득 |
| 2단계 | 소득공제 차감 | 근로소득공제, 인적공제 등 각종 공제 적용 |
| 3단계 | 과세표준 산정 | 총소득 - 소득공제 = 과세표준 |
| 4단계 | 누진세율 적용 | 과세표준에 따른 구간별 세율 적용 |
| 5단계 | 지방소득세 계산 | 산출세액의 10% 별도 부과 |
3. 연봉별 성과급 세금 예시
성과급은 '추가 소득'으로 기존 소득 위에 쌓이므로, 해당 구간의 최고 세율이 적용됩니다.
| 기존 연봉 | 성과급 | 총 소득 | 적용 세율 구간 | 성과급 세율 | 예상 세금 부담 |
|---|---|---|---|---|---|
| 4,000만 원 | 500만 원 | 4,500만 원 | 15% 구간 | 15% | 약 75만 원 |
| 5,000만 원 | 1,000만 원 | 6,000만 원 | 24% 구간 | 24% | 약 240만 원 |
| 1억 원 | 1,000만 원 | 1억 1,000만 원 | 35% 구간 | 35% | 약 350만 원 |
4. 성과급 수령시 추가 고려사항
| 항목 | 내용 | 영향 |
|---|---|---|
| 4대 보험 |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 성과급에도 추가 부과 |
| 원천징수 | 급여 지급 시 미리 세금 차감 | 연말정산에서 정산 |
| 연말정산 | 실제 세액과 기납부세액 비교 | 환급 또는 추가 납부 발생 가능 |
5. 세금 구간 변동 기준
성과급 세금은 전체 연간 소득에 합산하여 해당 구간의 누진세율에 따라 결정되므로 기존 소득 수준에 따라 세금 부담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과세표준 경계선 | 변동 전 세율 | 변동 후 세율 | 세율 증가폭 |
|---|---|---|---|
| 1,400만 원 초과 시 | 6% | 15% | +9%p |
| 5,000만 원 초과 시 | 15% | 24% | +9%p |
| 8,800만 원 초과 시 | 24% | 35% | +11%p |
| 1억 5천만 원 초과 시 | 35% | 38% | +3%p |
| 3억 원 초과 시 | 38% | 40% | +2%p |
| 5억 원 초과 시 | 40% | 42% | +2%p |
| 10억 원 초과 시 | 42% | 45% | +3%p |
구간 변동 기준 : 연간 과세표준이 누진세율 구간의 경계선을 넘을 때 세율 구간이 변경됩니다.
